본문 바로가기

나이트윅스

심장이식 후 관리가 궁금합니다. 심장이식 후 관리가 궁금합니다. 심장이식 후 생존 환자가 입원하거나 사망하게 되는 주요 원인은 거부 반응과 감염, 악성종양입니다. 1) 면역억제제와 거부반응 본인의 장기가 아닌 다른 사람의 장기를 이식 받게 되면, 일란성 쌍둥이가 아닌 이상,이식된 장기를 자신의 면역체계가 공격하는 거부반응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면역 억제 요법(免疫抑制療法)의 발달로 이식된 장기 생존율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거부반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면역억제제의 정확한 복용(시간과 용량)이 매우 중요합니다. 치료는 이식 직전-직후 초기 유도 면역 억제 요법과 장기적인 유지 면역 억제 요법, 급성 거부반응에 대한 치료로 구분되며, 매우 전문적인 진료가 필요합니다. 아래의 증상이있으면 거부반응을 의심하고 정밀검사(조직검사).. 더보기
심부전 환자의 적절한 1일 식사 칼로리는 얼마인가요? 심부전 환자의 적절한 1일 식사 칼로리는 얼마인가요? 적절한 1일 식사 칼로리는 표준체중을 기준으로 1일 30kcal/kg가 권장됩니다. 예를 들어, 키가 172cm인 남성의 경우 표준체중은 66kg 내외이며, 권장 칼로리는2,000kcal 정도입니다. 아래 표 5-1에서 키에 따른 표준체중과 권장 칼로리를 참고할 수있습니다. 환자가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경우는 심근의 산소요구량 증가로 인한 심장 부담이 증가되므로 체중감량이 필요합니다. 체중감량은 안전하고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최대 일주일에 0.5kg 정도로 계획하며 이를 위해서는 하루 500kcal 정도의 열량 감소가 필요합니다. 실천 방법으로 평소 1일 섭취 칼로리에서 300kcal 정도를 줄이고 운동을 통해 200kcal 정도의 활동량을 증가.. 더보기
심부전 환자는 어떤 운동을 하는 것이 좋나요? 심부전 환자는 어떤 운동을 하는 것이 좋나요? 일반적으로 유산소 운동이 권장됩니다. 운동을 하면 심폐기능이 향상되고 악화요인 발 생의 위험도가 줄어드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유산소 운동은 20~30분간 시행하며 1주일에 5회 이상 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식사 후에는 적어도 90분 이후에 시행합니다.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 환자는 활동 정도를 서서히 늘립니다. 스트레칭 등을 하며 워밍업을 5분간 시행합니다. 유산소 운동을 마친 후에도 5~10분간의 정리 운동 시간이 필요합니다. 운동은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시행 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근에는 유산소 운동에 더해, 약간의 근력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예후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Tip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하는 방법 운동 여부를 달력이나 일.. 더보기
심부전을 악화시키는 요인은 무엇이며, 어떻게 조심해야 하나요? 심부전을 악화시키는 요인은 무엇이며, 어떻게 조심해야 하나요? 다양한 요인들이 있습니다. 생활습관의 요인으로 대표적인 경우는 규칙적으로 약물을 복용하지 않는 것입니다. 약물은 반드시 규칙적으로 복용해야 합니다. 음식에 염분이 과다하게 들어간 경우에도 심부전이 나빠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염식이 권장됩니다.심장 자체의 문제로서 너무 빠르거나 느린 부정맥이 발생하면 심부전이 심해집니다. 이때에는 빠른 진료를 통해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심근 허혈이 악화되어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이 발생하면 심장기능은 더욱 떨어지기 때문에 심부전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역시 적절한 치료를 빨리 받도록 해야 합니다. 심장 이외의 질환으로도 심부전은 악화될 수 있습니다. 감염, 폐색전증, 고혈압 조절이안 되는 경우, 빈.. 더보기
심부전 치료를 위해 현재 시행되거나 개발 중인 수술법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심부전 치료를 위해 현재 시행되거나 개발 중인 수술법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수술적인 치료법 중 현재 시행되는 것으로는 좌심실 또는 우심실의 수축기능을 돕기위하여 기구를 삽입하는 수술적인 요법을 비롯해, 말기 심부전의 최종 단계에서 시행되는치료법인 심장 이식법이 있습니다. 앞서 소개한 바 있는 심첨부 흉곽의 작은 절개면을 이용하는 심첨부를 통한 경피적 대동맥 판막 치환술이 있으며, 승모판막 역류 환자의 좌심실 확장을 막기 위한 코르캡 기구,심근경색증이 되어 있는 부분의 일부를 성형하는 방법 및 코압시스 기구 삽입을 통하여확장된 심실을 강제로 조이는 방법 등이 개발 중에 있습니다. [출처] 닥터푸드 심혈관건강 : 심부전 - http://rosemoll.com/bbs/board.php?bo_table=inf.. 더보기
심장 일부를 절제하는 수술 심장 일부를 절제하는 수술 심근경색증 등을 경험하여 심장의 일부가 정상적인 기능을 못하고 심실류를 형성하면, 시간이 지나면서 심근 재형성(再形成) 과정을 거치게 되고, 심실의 확장과 심실 수축 기능의 감소 등이 일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관동맥 우회수술 등의 수술을 할 때 이러한 부분들을 절제하기도 합니다. 이들이 심첨부에 국한되어 있을 경우에는 심장 내에 패치를대어 심실 용적 자체를 줄여줌으로써 심실 기능의 호전을 도모하는 수술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일부 연구들에서는 이러한 수술을 시행하여 심실의 용적(容積) 감소와 심실 기능 향상을 보았다고 보고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2년 전에 발표된 STICH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술이 관동맥 우회수술만을 시행한 환자들과 비교했을 때, 예후에 호전이 없으며 수술 시간.. 더보기
심부전 치료를 위해 현재 개발 중이거나 시도되고 있는 시술적 치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심부전 치료를 위해 현재 개발 중이거나 시도되고 있는 시술적 치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1) 관동맥조영술/경피적 관동맥 성형술, 스텐트 삽입술 심부전의 원인이 허혈성 심장질환(虛血性 心臟疾患)인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관동맥조영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관동맥에 의미있는 협착 소견이 존재할 경우 경피적관동맥 성형술 및 스텐트 삽입술 또는 수술적 방법을 통한 관동맥 우회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관동맥이란 심장근육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3개의 혈관으로 심장근육 표면에 존재합니다. 관동맥조영술(冠動脈造影術)이란 아래 그림과 같이 사타구니의 대퇴동맥이나 손목의요골동맥을 통하여 가느다란 도관을 관동맥에 삽입한 후 조영제(造影劑)를 사용하여 관동맥에 협착이 존재하는지를 직접 촬영하는 시.. 더보기
심방세동이 동반된 뇌졸중 환자는 어떤 약물치료를 하게 되나요? 심방세동이 동반된 뇌졸중 환자는 어떤 약물치료를 하게 되나요? 심방세동 환자는 심장 내에 혈전이 잘 만들어지는 조건을 갖고 있습니다. 혈전은 혈관또는 심장 내에서 피가 굳어져서 발생하는 피떡을 말하는데, 특히 심방세동 환자의 경우는 혈전이 뇌혈관을 막는 뇌졸중을 쉽게 동반합니다. 따라서 심방세동이 동반된 뇌졸중환자는 재발을 막기 위해 혈전 위험을 줄이는 항응고제 치료를 받게 됩니다. 현재까지는 와파린이라고 하는 약제를 통해 혈전이 덜 생기게 하는 것이 유일한 치료법이었습니다. 하지만, 와파린은 다른 약제뿐만 아니라 복용하는 음식에 따라서도 혈중농도가 달라질 수가 있어 혈액검사를 자주 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최근에는 판막질환을 동반하지 않은 심방세동의 경우 새로운 기전의 항응고제가 사용될 수 있.. 더보기
심방세동이 동반된 심부전 환자는 어떤 약물치료를 하게 되나요? 심방세동이 동반된 심부전 환자는 어떤 약물치료를 하게 되나요? 심방세동(心房細動)은 심부전 환자에서 흔하게 동반되는 부정맥으로서, 특히 심방세동이 심박수의 증가와 동반될 경우 호흡곤란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심방세동 환자를 정상 리듬으로 되돌릴 수 있을 경우 이를 회복시키기 위한 약물치료가 시행되는데 일반적으로 아미오다론(amiodarone)이라는 약제가 주로 사용됩니다. 정상 리듬으로 회복이 될 경우, 이를 유지하기 위해서도 지속적으로 약제를 사용합니다. 영구형(永久型) 심방세동(permanent atrial fibrillation)이 아닐 경우, 정상 리듬으로 회복이되면 이를 유지하기 위해 아미오다론 대신 드로네다론(dronedarone)이라는 약제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심방세동을 정상 리듬으로.. 더보기
현재 개발 중이거나 사용이 시작된 심부전 약물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현재 개발 중이거나 사용이 시작된 심부전 약물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1) 심근대사 향상제(metabolic modulator) 최근까지 심부전 치료의 주된 목표는 활성화된 신경호르몬제를 억제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를 위해 앞에서 설명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및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베타차단제 등을 사용했으나, 최근에는 심근대사 자체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이되고 있습니다. 몇 가지 약제들이 개발이 되어 임상에 도입이 되었는데, 트리메타지딘 (trimetazidine)과 라놀라진(ranolazine)등이 대표적인 약물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트리메타지딘만이 사용 가능합니다. 2) 심박수 조절 약제 현재까지 심박수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칼슘채널차단제 또는 베타차단제를 사용하였으나, 최근 새로운 기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