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현재 개발 중이거나 사용이 시작된 심부전 약물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1) 심근대사 향상제(metabolic modulator)
최근까지 심부전 치료의 주된 목표는 활성화된 신경호르몬제를 억제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를 위해 앞에서 설명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및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베타차단제 등을 사용했으나, 최근에는 심근대사 자체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이되고 있습니다. 몇 가지 약제들이 개발이 되어 임상에 도입이 되었는데, 트리메타지딘
(trimetazidine)과 라놀라진(ranolazine)등이 대표적인 약물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트리메타지딘만이 사용 가능합니다.
최근까지 심부전 치료의 주된 목표는 활성화된 신경호르몬제를 억제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를 위해 앞에서 설명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및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베타차단제 등을 사용했으나, 최근에는 심근대사 자체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이되고 있습니다. 몇 가지 약제들이 개발이 되어 임상에 도입이 되었는데, 트리메타지딘
(trimetazidine)과 라놀라진(ranolazine)등이 대표적인 약물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트리메타지딘만이 사용 가능합니다.
2) 심박수 조절 약제
현재까지 심박수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칼슘채널차단제 또는 베타차단제를 사용하였으나, 최근 새로운 기전의 약제가 개발되어 임상 도입을 앞두고 있습니다. 이바브라딘(ivabradine)이라는 약제는 심박수가 70회 이상인 환자들에게 사용할 때 입원율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입증이 되었습니다.
현재까지 심박수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칼슘채널차단제 또는 베타차단제를 사용하였으나, 최근 새로운 기전의 약제가 개발되어 임상 도입을 앞두고 있습니다. 이바브라딘(ivabradine)이라는 약제는 심박수가 70회 이상인 환자들에게 사용할 때 입원율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입증이 되었습니다.
3) 바소프레신 수용체 차단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및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베타차단제 등과 같은 신경호르몬계에 작용하는 약제로 톨밥탄(tolvaptan)이라는 약제가 개발이 되어 있습니다. 저나트륨혈증이 있는 환자들에서 사용 시 이를 교정하여 주는 효과가 있으며, 신장기능 악화는 거의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및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베타차단제 등과 같은 신경호르몬계에 작용하는 약제로 톨밥탄(tolvaptan)이라는 약제가 개발이 되어 있습니다. 저나트륨혈증이 있는 환자들에서 사용 시 이를 교정하여 주는 효과가 있으며, 신장기능 악화는 거의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4) 새로운 강심제(positive inotropes)
레보시멘단(levosimendan)이라는 정맥주사용 제제가 여러 임상 시험을 거친 상태이며,경구용 제제도 개발이 되어 있으나 아직까지는 임상에 도입이 되기는 부족한 결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스타로심(istaroxime)이라는 약제는 디곡신과 비슷한 기전으로 심근 수축력을 증강시키며, 이 약제는 SERCA2a를 자극시키는 또 다른 기전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심근 활성화 제제로 오메캄티브(omecamtiv mecarbil)라는 약제가 개발이 되어 최근 활발한 연구가 되고 있습니다.
레보시멘단(levosimendan)이라는 정맥주사용 제제가 여러 임상 시험을 거친 상태이며,경구용 제제도 개발이 되어 있으나 아직까지는 임상에 도입이 되기는 부족한 결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스타로심(istaroxime)이라는 약제는 디곡신과 비슷한 기전으로 심근 수축력을 증강시키며, 이 약제는 SERCA2a를 자극시키는 또 다른 기전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심근 활성화 제제로 오메캄티브(omecamtiv mecarbil)라는 약제가 개발이 되어 최근 활발한 연구가 되고 있습니다.
5) 새로운 혈관 확장제
실데나필(sildenafil)과 같은 계열의 약제들이 심부전에서 심근 수축력을 향상시키고, 심근 재형성을 막으며, 심장의 이완기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나오면서 최근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현재 여러 연구들이 진행 중이므로 이 연구들의 결과가 나오면 임상에서 많이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약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데나필(sildenafil)과 같은 계열의 약제들이 심부전에서 심근 수축력을 향상시키고, 심근 재형성을 막으며, 심장의 이완기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나오면서 최근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현재 여러 연구들이 진행 중이므로 이 연구들의 결과가 나오면 임상에서 많이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약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산회질소와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방세동이 동반된 뇌졸중 환자는 어떤 약물치료를 하게 되나요? (0) | 2012.10.31 |
---|---|
심방세동이 동반된 심부전 환자는 어떤 약물치료를 하게 되나요? (0) | 2012.10.30 |
심부전 아침에 약 먹는 걸 깜빡했는데, 저녁에 아침 분량까지 같이 먹어야 하나요? (0) | 2012.10.28 |
심부전 약을 먹어도 좋아지지 않고 증상은 똑같습니다. 그런데 약을 계속 먹어야 하나요? (0) | 2012.10.27 |
숨이 차서 입원했을 때 주사로 강심제를 투여받고 호전되었습니다. 평소에 먹는 강심제는 없나요? (0) | 2012.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