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백식품이 몸에 안좋은 이유
정백식품이 왜 나쁜가?
정백식품
정백식품
우리는 정백식품(또는 정제식품)이란 말을 수 없이 들어왔다.
그러나 우리는 정백식품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부족하다.
정백식품이 몸에 이롭지 못하다는 말은 수 없이 들어 왔으나
왜 좋지 않은지에 대해서는 잘 들을 수 없었다.
그러나 우리는 정백식품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부족하다.
정백식품이 몸에 이롭지 못하다는 말은 수 없이 들어 왔으나
왜 좋지 않은지에 대해서는 잘 들을 수 없었다.
정백식품이 왜 몸에 좋지 않을까?
우리는 식품을 보기 좋게 하얗게 만든 식품을 정백식품이라 하는 데
흰쌀, 흰밀가루, 흰설탕, 흰소금, 흰조미료를 흔히 오백(다섯가지 흰)식품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이러한 오백식품은 본래의 색상(자연스러운 색상)을 흰색으로
바꾸어 만들어 내는 데 이 과정에서 이미 그 식품이 가지고 있는 유효성분은
모두 탈락하고 영양소가 없는 껍데기만 우리는 매일 먹고 있다.
그러면 각가지 오백식품에 대하여 언급해 보도록 하자
우리는 식품을 보기 좋게 하얗게 만든 식품을 정백식품이라 하는 데
흰쌀, 흰밀가루, 흰설탕, 흰소금, 흰조미료를 흔히 오백(다섯가지 흰)식품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이러한 오백식품은 본래의 색상(자연스러운 색상)을 흰색으로
바꾸어 만들어 내는 데 이 과정에서 이미 그 식품이 가지고 있는 유효성분은
모두 탈락하고 영양소가 없는 껍데기만 우리는 매일 먹고 있다.
그러면 각가지 오백식품에 대하여 언급해 보도록 하자
- 흰 쌀
60년대만 하더라도 우리는 흰쌀을 잘 먹지 못했다. 아니 먹을 수 없었다.
흰쌀은 잘 사는 사람들, 혹은 높은 계층의 사람만이 먹을 수 있는 식품이었다.
당시 중하층 사람들은 대부분 보리밥을 비롯한 잡곡밥을 주식으로 해야 했다.
돌이켜 생각해보면 중하층의 사람들이 올바른 식생활을 했다는 결론이 나온다.
가난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먹었던 보리, 콩, 통밀 등 잡곡들이 오늘날에는
가장 건전하고 좋은 먹거리가 되었다.
60년대만 하더라도 우리는 흰쌀을 잘 먹지 못했다. 아니 먹을 수 없었다.
흰쌀은 잘 사는 사람들, 혹은 높은 계층의 사람만이 먹을 수 있는 식품이었다.
당시 중하층 사람들은 대부분 보리밥을 비롯한 잡곡밥을 주식으로 해야 했다.
돌이켜 생각해보면 중하층의 사람들이 올바른 식생활을 했다는 결론이 나온다.
가난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먹었던 보리, 콩, 통밀 등 잡곡들이 오늘날에는
가장 건전하고 좋은 먹거리가 되었다.
쌀은 다음과 같이 나누어 볼 수 있다.
* 현미 - 벼의 겉껍질만 제거하고 쌀겨를 그대로 둔 완전 통곡식
* 5분도미 - 쌀겨를 50%정도만 제거한 것
* 7분도미 - 쌀겨를 70%정도만 제거한 것
* 배아미 - 배아만 남기고 쌀겨를 모두 제거한 것
* 백미 - 쌀겨 배아를 모두 제거하고 배유만 남겨 둔 것
* 현미 - 벼의 겉껍질만 제거하고 쌀겨를 그대로 둔 완전 통곡식
* 5분도미 - 쌀겨를 50%정도만 제거한 것
* 7분도미 - 쌀겨를 70%정도만 제거한 것
* 배아미 - 배아만 남기고 쌀겨를 모두 제거한 것
* 백미 - 쌀겨 배아를 모두 제거하고 배유만 남겨 둔 것
한 알의 쌀에는 양질의 식물성 영양소가 듬뿍 담겨 있는 데
식물성 단백질, 지방의 에너지 영양소와
칼슘, 인, 나트륨, 철분등의 미네랄 류(대사영양소),
그리고 비타민 B1,B2,B6, 니코틴산, 판토텐산, 엽산, 비타민 E등의
비타민류가 듬뿍 들어 있는 것이다.
식물성 단백질, 지방의 에너지 영양소와
칼슘, 인, 나트륨, 철분등의 미네랄 류(대사영양소),
그리고 비타민 B1,B2,B6, 니코틴산, 판토텐산, 엽산, 비타민 E등의
비타민류가 듬뿍 들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영양소는 대부분 쌀겨와 배아에 집중되어 있고 배유에는
영양소가 없는 그야말로 빈 껍데기에 불과하다.
비타민 B1을 예를 들어 그 배율을 보자
영양소가 없는 그야말로 빈 껍데기에 불과하다.
비타민 B1을 예를 들어 그 배율을 보자
* 쌀겨 - 32%
* 배아 - 65%
* 배유 - 3%
* 배아 - 65%
* 배유 - 3%
총체적으로 영양소 구성비를 보았을 때 배유(백미)부분은
쌀 전체의 영양소 중에 불과 5%정도의 영양만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우리는 그동안 실질적으로 우리 몸에 필요한 영양소는 모두
버리고 영양이 없는 빈껍데기인 백미만 먹고 살아 왔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쌀 전체의 영양소 중에 불과 5%정도의 영양만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우리는 그동안 실질적으로 우리 몸에 필요한 영양소는 모두
버리고 영양이 없는 빈껍데기인 백미만 먹고 살아 왔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이렇듯 오랫동안 백미를 주식으로 먹고 생활해 온 우리는 자율신경 실조를
일으키는 주범인 권태, 피로, 어깨결림 등의 구속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었던 것이다.
일으키는 주범인 권태, 피로, 어깨결림 등의 구속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었던 것이다.
- 흰 밀가루
흰 밀가루도 쌀과 똑 같다. 통밀이 가지고 있는 실질적인 영양소는 모두 제거해
버리고 영양가치가 없는 흰 부분만 먹고 있으므로 우리 몸에 이롭게 작용할리 없다
흰 밀가루도 쌀과 똑 같다. 통밀이 가지고 있는 실질적인 영양소는 모두 제거해
버리고 영양가치가 없는 흰 부분만 먹고 있으므로 우리 몸에 이롭게 작용할리 없다
- 흰 설탕
체내의 칼슘과 비타민 B1을 빼앗아 가버림으로써 조직을 느슨하게 하고 저항력을
약화시켜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주범으로서 역할을 한다. 또한 변비를 일으키기 쉽고
동맥경화도 일으키는 등 많은 부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특히 대사작용을 흐뜨림으로써 암 등의 난치병에 이르게 할 수도 있다.
체내의 칼슘과 비타민 B1을 빼앗아 가버림으로써 조직을 느슨하게 하고 저항력을
약화시켜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주범으로서 역할을 한다. 또한 변비를 일으키기 쉽고
동맥경화도 일으키는 등 많은 부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특히 대사작용을 흐뜨림으로써 암 등의 난치병에 이르게 할 수도 있다.
- 흰 소금
소금은 우리에게 없어서는 안될 너무나도 소중한 물질이다. 그러나 소금이라고 해서
다 똑 같은 성분은 아니다. 우리나라 서해안에서 제조되는 천일염의 경우 약 80%가
염분이며 나머지 20%가 30여 종류의 미네랄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여러가지 환경
적인 요소가 천일염 제조를 가로막고 있으며 그것의 가장 큰 원인이 화학정제염의 대
량생산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해수와 토양이 오염되어 질 좋은 천일염을
생산하기에는 수지가 맞지 않은 요인도 있다.
소금은 우리에게 없어서는 안될 너무나도 소중한 물질이다. 그러나 소금이라고 해서
다 똑 같은 성분은 아니다. 우리나라 서해안에서 제조되는 천일염의 경우 약 80%가
염분이며 나머지 20%가 30여 종류의 미네랄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여러가지 환경
적인 요소가 천일염 제조를 가로막고 있으며 그것의 가장 큰 원인이 화학정제염의 대
량생산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해수와 토양이 오염되어 질 좋은 천일염을
생산하기에는 수지가 맞지 않은 요인도 있다.
그러면 천일염과 화학(정제)염과의 차이는 무엇일까?
똑 같이 짠 맛을 내는 이 두 소금을 정밀하게 분석해 보면 현미와 백미의 차이와 똑 같
다고 보면 된다. 천일염은 앞에서 언급했듯이 염분(80%)+미네랄(20%)로 구성되어 있
지만 정제염은 염분(99.9%)+불순물(0.01%)로 구성되어 있다. 한 마디로 정제염을 염화나트륨인 셈이다.
똑 같이 짠 맛을 내는 이 두 소금을 정밀하게 분석해 보면 현미와 백미의 차이와 똑 같
다고 보면 된다. 천일염은 앞에서 언급했듯이 염분(80%)+미네랄(20%)로 구성되어 있
지만 정제염은 염분(99.9%)+불순물(0.01%)로 구성되어 있다. 한 마디로 정제염을 염화나트륨인 셈이다.
우리가 먹는 물질, 특히 식품에는 단순히 한 성분만으로 구성될 수 없다. 특히 그것이
자연식품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자연식은 자연의 갖가지 작용으로 만들어 내는 한 마
디로 멋진 작품들인 것이다.
자연식품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자연식은 자연의 갖가지 작용으로 만들어 내는 한 마
디로 멋진 작품들인 것이다.
- 흰 조미료
화학합성식품이라고 부르고 있으나 사실은 식품으로써 가치가 전혀 없는 것이다. 원료
가 아무리 천연식품이라고 하더라도 극도로 가공 정제해버리면 원래의 자연성은 찾아
볼 수가 없고 인공적인 요소만 남아 체내의 자연활성 부분을 저해함과 아울러 인체의
신진대사를 교란시킬 수 있는 발암인자라 해도 틀린말은 아닐 것이다. 특히 흰 조미료
는 혈액을 탁하게 하여 체내의 면역력과 자연치유력을 떨어뜨리는 데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화학합성식품이라고 부르고 있으나 사실은 식품으로써 가치가 전혀 없는 것이다. 원료
가 아무리 천연식품이라고 하더라도 극도로 가공 정제해버리면 원래의 자연성은 찾아
볼 수가 없고 인공적인 요소만 남아 체내의 자연활성 부분을 저해함과 아울러 인체의
신진대사를 교란시킬 수 있는 발암인자라 해도 틀린말은 아닐 것이다. 특히 흰 조미료
는 혈액을 탁하게 하여 체내의 면역력과 자연치유력을 떨어뜨리는 데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반응형
'다이어트 > 다이어트&운동&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고프지 않는 덴마크식 달걀 다이어트 (0) | 2011.09.25 |
---|---|
살찌는 장소를 피하라 (0) | 2011.09.25 |
[술과 몸만들기] 음주 후 운동과 컨디션관리 (1) | 2011.09.25 |
요요가 걱정되는 다이어트 (0) | 2011.09.25 |
체중 줄일수 있는 비결은 수분많은 저지방 음식 (0) | 2011.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