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당뇨관리

[임신성당뇨병] 거대아 출산, 나도 임신성 당뇨?

반응형

거대아 출산, 나도 임신성 당뇨?

임신성 당뇨병, 적극적인 예방과 대처가 필요


그 누구보다 체구가 작은 직장인 최모(33)씨는 얼마 전 4.5.kg의 거대아를 제왕절개로 출산했다. 부모의 체구가 작은데 이렇게 큰 아가기 뱃속에서 나와 너무 놀랐다고 한다.

최씨는 임신성 당뇨였지만 임신 내내 혈당이 조금 높은 것에 대해 전혀 신경쓰지 않아 관리가 되지 못한 것.

최근 당뇨병 발병율이 크게 증가하는 가운데 임신중 여성에서 발생하는 임신성 당뇨의 발병율도 증가하고 있으며 임신성 당뇨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다.

주위에서 체중이 4Kg을 넘는 거대아가 태어나는 경우를 간혹 듣게 되는데 과거에는 장군감이 태어 났다고 좋아하기도 하였지만 이런 경우 대부분 엄마가 임신성 당뇨병일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임신부에게는 임신 중 고혈압질환이나 분만 후 당뇨병의 발생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고 태아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현상이 거대아증으로 고인슐린혈증으로 인해 거대아가 태어나는 현상이다. 이런 경우 분만 시 난산이나 부상의 위험성, 그리고 제왕절개의 필요성이 증가한다.

◇ 국내 임신성 당뇨 유병률 3%

임신성 당뇨는 국내 뿐만 아니고 세계적으로 발생 빈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보건복지가족부 지정 제 2형 당뇨병 임상연구센터에 따르면 미국의 경우 모든 임신부의 약 7%가 임신성 당뇨이고 매년 20만 명 이상의 임신부에서 발병하고 있다.

또 우리의 경우도 지난 30년간 당뇨병 환자의 수가 급격히 늘어 났으며 특히 2015년에는 당뇨병 환자의 수가 1000만에 이를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내분비내과 전문의들에 따르면 국내 임신성 당뇨병의 유병률은 임신부의 2~4%로 보고되고 있지만 해당 조사가 1979년에 제안된 NDDG (National Diabetes Data Group) 의 진단기준을 사용한 것으로 사실 진단기준상에 비임신부도 포함돼 있어 정확도는 떨어 질 수 있다.

또 임신성 당뇨병 유병율은 약 3%정도이고 유전적인 요인도 있지만 환경적인 인자도 보다 중요하며 최근 우리나라에서 소아나 성인의 당뇨병 유병률 증가와 더불어 향후 임신성 당뇨병의 유병률이 크게 증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임신성 당뇨와 비만은 비례관계

임신성 당뇨병은 임신으로 인해 임신 기간 중에만 당뇨병이 생기는 것으로 당뇨병의 증상이 심하지 않고 전체 임신한 여성의 2~5%에서 생기며 임신은 생리적으로 당뇨병을 악화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임신성 당뇨는 비만인 여성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임신성 당뇨는 체지방 증가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전문의들은 입을 모았다.

상계백병원 내분비내과에 따르면 임신성 당뇨병에서는 섭취되는 영양소에 의해 분비되는 인슐린 양이 50% 정도까지 감소한다고 보고된바 있으며 인슐린 분비능력이 적어지는 상황에서 비만에 의해 체지방이 증가하게 되면 임신성 당뇨병의 발생 확률은 더욱 증가한다.

또 임신성 당뇨병은 산모의 나이가 35세 이상 고령일수록, 가족 중에 당뇨병 환자가 있는 경우, 산모가 비만한 경우에 잘 생기고 첫아기를 임신했을 때 임신성 당뇨병이 있었다면 다음 번에도 임신성 당뇨병이 생길 확률은 50%이라고 설명했다.

◇ 임신 24~26주 산전검사 '필수'

임신성 당뇨 예방을 위해서는 비만, 고령 출산, 임신성 당뇨 경험자 및 당뇨병 가족력이 있는 산모의 경우는 임신 전에 당뇨병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고대 구로병원 내분비내과 김태년 교수는 “임신한 여성은 산전관리를 받기 때문에 시기 적절시 검진을 받아야 한다”며 “임신성 당뇨 검사는 임신 중반기인 24~28주에 받는 것이 좋으며 당뇨병 여성이 임신을 계획하는 경우 먼저 당뇨병 전문의와 상의를 해야 하고 임신 전 미리 살을 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김 교수는 “임신 전 직계가족 중 당뇨가 있는 사람, 임신성 당뇨가 있었거나 고위험군은 체중 관리하고 3주안에 검사를 받은 후 임신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당뇨병이 오래되고 심해 망막증이나 신장병과 같은 합병증이 초기 단계를 넘어섰다면 임신이 산모의 합병증을 악화시키므로 임신을 하면 안되고 당뇨 증상이 심한 산모의 경우는 유산이나 기형아 및 태아 이상의 빈도가 훨씬 높아지게 되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내과 임수 교수는 “임신성 당뇨병의 경우 고혈당을 피해야 하고 혈당 조절이 가장 중요하다고 다른 당뇨병 환자들보다 더 철저하고 엄격하게 관리해야 한다”며 “태아에게 충분한 영양 공급이 되도록 식단을 구성해야 하지만 식사로 조절이 안되거나 혈당이 처음부터 높은 경우는 태아에게 인슐린 주사를 사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출산 전까지 산부인과 전문의의 산전 관리도 중요하다.

상계백병원 내분비내과 원종철 교수는 “기형아, 양수과다, 임신 중독증과 같은 모성 합병증과 태아에 문제가 생길 확률이 4배 이상 높지만 혈당 조절이 잘되면 정상인과 같아지며 출산을 하면 당뇨병은 없어지지만 당뇨병 예방에 신경을 써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원 교수는 “10~15년 뒤에 다시 진짜 당뇨병이 생기는 확률이 40~50%에 이르게 되기 때문이다”며 “평소에 과식을 피하고 운동을 많이 해 나중에 생길지 모르는 당뇨병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메디컬투데이 김지효 기자]
반응형